본문 바로가기

About GOLF

골프 기초 함께 알아보기

반응형

골프연습장을 등록하고 나면 레슨해주시는 분께서 알려주시는 골프클럽에 대한 기초 정보입니다. 지면을 통해 정리함으로써 참고하시어 빨리 익숙해지시면 레슨 받는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골프클럽 부위별 명칭과 골프클럽의 종류를 포스팅하고자 합니다.

 

 

 

골프클럽의 부위별 명칭은 위 그림처럼 그립, 샤프트, 헤드 3개 부분으로 분류됩니다.

 

그립(Grip)은 골퍼가 손으로 잡는 부분이고, 샤프트(Shaft)는 볼을 치는 헤드와 그립을 연결하는 기둥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그리고 골프클럽이 명칭을 좌우하는 헤드(Head) 부분이 있습니다.

 

헤드 부분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헤드와 샤프트의 연결지점인 "넥(neck)", 그립에서 제일 먼 클럽헤드의 끝부분인 "토(toe)", 샤프트쪽 클럽헤드의 끝부분인 "힐(heel)", 볼을 맞추는 부분인 "페이스(face)", 페이스에서 꺽여 바닥에 닿는 부분인 "솔(sole)"이 우리가 기억해야 할 주요 부분입니다.

그 외 그림상에 나와있는 로프트, 라이, 페이스 프로그레션 등은 다음 기회에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방금 언급한 것처럼 골프클럽은 대체로 헤드모양에 따라 그 종류가 구분됩니다.

크게 우드, 아이언, 퍼터로 구분되며, 퍼터를 제외한 두가지 클럽은 거리에 따른 다양한 클럽이 있습니다.

 

 

우드(Wood)는 1번우드라고 불리우는 드라이버(Driver)와 길이에 따른 번호를 가지고 있는 페어웨이 우드(Fairway Wood), 그리고 아이언과 우드의 중간적인 성격을 갖고 있는 유틸리티 우드(Utility Wood)로 구분됩니다.

드라이버는 통상 티샷(Tee shot)을 할 때 사용하는 클럽으로 길이가 가장 긴 클럽입니다. 티샷이라 함은 홀에서 첫번째 친다는 말입니다. 우드는 통상 아이언클럽으로 처리가 안되는 긴거리가 남았을때 사용하게 됩니다.

 

아이언(Iron)은 헤드의 로프트각도(페이스의 기울기) 및 샤프트 길이에 따라 1~9번까지 있으나, 실제 아마추어들은 4~9번까지를 주로 사용합니다.

우드가 장거리, 아이언이 중거리라면 더 짧은 거리를 위한 웨지(Wedge)가 있습니다. 웨지는 로프트 각도로 구분하지만, 일반적으로 칭 웨지(pitching wedge), 벙커에서 사용하는 샌드 웨지(sand wedge)가 있으며, 유틸리티 우드처럼 두 웨지 사이에 어프로칭 웨지(Appro 또는 갭웨지 혹은 피칭샌드라고 불리우는 웨지가 있습니다. 이 외에도 로브웨지라는 샌드웨지보다 기울기가 더 큰 웨지도 있습니다. 웨지는 개인의 기량이나 습관에 의해 선택되는 것으로 정해진 기준이 있지는 않습니다.

 

퍼터(Putter)는 그린 위에서 사용하는 클럽으로 개인의 퍼팅습관 등에 의해 다양한 모양의 퍼터가 선택되어집니다.

 

 


 

골프규정상 골퍼가 골프백에 넣고 사용할 수 있는 클럽의 수는 14개이하로 정해져 있습니다. 때문에 골퍼가 본인의 능력이나 선호를 감안하여 위 설명한 골프클럽 중에서 선택하여 구입하고 사용하면 됩니다.

 

골프에 입문한지 얼마되지 않는 초급자의 경우 남성은 드라이버, 3번 우드, 5번 유틸리티, 5~9번 아이언, 피칭웨지, 어프로치웨지, 샌드웨지, 퍼터로 총 12개의 클럽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여성의 경우 드라이버, 3번우드, 5번우드, 5번 유틸리티, 6~9번 아이언, 피칭웨지, 어프로치웨지, 샌드웨지, 퍼터로 총 11개의 클럽으로 구성합니다. 이는 특별한 이유가 있는 것이 아니라, 초보자를 대상으로 시판되고 있는 대부분의 골프 브랜드의 풀세트의 구성입니다.

따라서 개인별로 구매시의 차이는 당연히 있을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골프클럽의 명칭과 종류를 설명하였습니다. 골프클럽의 명칭은 보다 효율적인 레슨이나 기타 참고자료를 보실 때 이해를 돕는데 유용한 것이니 빨리 익숙해지시면 좋습니다. 골프클럽의 종류는 언급한 내용 이외에 굉장히 다양한 선택사양이 있기에 연습장에서 레슨을 받고 있는 분이라면, 천천히 알아가셔도 상관없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