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루피는 아이언 플레이가 마음대로 될 때가 가장 만족스럽다. 그러나 아이언이 잘 맞는 날은 통상 우드 샷이 안되는 경험을 많이 하였는데, 루피만의 경험인지는 몰라도 아이언과 우드 중 어느 한쪽이 되는 날 다른 한 쪽이 안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스윙 방법의 차이가 아닐까 싶다. 아이언샷이 안정적인 경우, 조금은 다른 우드 샷의 스윙이 상대적으로 덜 안정적인 이유라고 생각한다.
얼마 후 라운딩 계획이 있는데, 이에 대비해서 아이언에 대한 몇가지 도움이 되는 글을 참조해서 연습 후 나갈 계획인데, 초보자보다는 1년이상의 구력이 있는 골퍼들이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아이언 샷 전의 에이밍 관련해서 일반적으로 한쪽 눈으로 샤프트와 목표 그리고 볼이 일직선이 되게 하는 것이 기본이다. 일치되는 가상의 선을 만들어 볼 앞 쪽의 가상의 선이 지나가는 지점을 기억한 후 어드레스에 들어가면 된다. 가상의 지점과 볼이 연결 된 선과 직각으로 페이스를 맞추는 것이다. 몸과 에이밍은 평행이 되어야 하는데, 이때는 두 다리의 무릎을 평행하게 한 후 두 어깨의 선을 무릎선에 맞추는 것이 에이밍 후 어드레스의 완성이 되는 것이다. 아마추어들의 입장에서 그린을 노리는 것이 다소 무리하다고 생각된다면 안전하고 다음 샷이 편할 수 있는 지역을 찾아 에이밍하는 것도 코스 매니지먼트라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 에이밍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에이밍 기기가 정해주는 정확한 얼라이먼트의 느낌을 반복적으로 기억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우리가 가장 잘 치는 아이언은 미들아이언이다. 처음 배울 때 거의 모든 사람들이 7번 아이언으로 시작한 덕분이다. 그렇다면 롱 아이언과 숏 아이언 샷의 가장 큰 차이는 무엇일까. 그것은 볼의 위치이다. 롱 아이언은 왼쪽, 숏 아이언은 오른쪽이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스윙의 방식 또는 궤적이다. 롱 아이언은 테이크 백을 우드처럼 길게 가져간 후 흔히 말하는 쓸어치는 스윙을 한다. 이는 곧 볼이 놓인 상황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잔디의 깊은 곳에 잠긴볼은 치기 힘들다는 뜻이기도 하다. 숏 아이언은 흔히 다운블로 샷을 한다. 볼을 치고 디보트를 반드시 만들겠다는 생각으로 찍어치는 방식으로 스윙을 해야 한다. 또한 롱 아이언은 큰 스윙을 하는 만큼 코킹 타이밍이 늦은 반면 가파른 스윙을 위한 숏 아이언의 경우는 어드레스부터 핸드 퍼스트의 손 위치를 통해 빠른 코킹 타이밍을 갖는 것이 좋다.
아이언 미스샷은 주로 뒤땅이나 토핑이 원인이다. 뒤땅은 다운스윙때 체중이동이 정확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코킹이 너무 빨리 풀려서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때문에 코킹도 허리 부근까지 유지를 한 후 풀어주는 것이 맞는 방법이다. 토핑의 원인은 헤드업이나 임팩트 타이밍을 제대로 맞추지 못하는 경우인데, 체중 이동이 너무 빨리 이루어지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당연히 리듬감 있는 체중 이동이 필요한 이유이다.
어떤 클럽이나 마찬가지겠지만, 아이언 스윙도 일관성이 가장 중요하다. 일관성을 만들기 위해서는 루틴과 템포로 나에게 맞는 루틴과 템포를 찾는 것이 연습의 목표일 것이다. 자신의 루틴 과정을 고민하여 글로 작성 후 머리속으로 기억하여 지속적으로 실천하여 습관이 되게 하는 것이 좋다고 본다. 에이밍을 확인하고, 스탠스를 잡아 어드레스를 하고, 빈 스윙을 하고, 에이밍을 재 확인하여 스탠스를 잡고, 클럽 페이스를 일치시키고 스윙을 하는 일련의 과정을 나름대로의 시간과 방식으로 정리하여 습관화해야겠다. 템포는 개인마다 다르겠지만, 일관된 템포를 유지하기 위한 자신만의 주문이 필요하다. 마음 속의 메트로놈을 작동시켜 자신만의 스윙 템포를 완성시켜야겠다.
짧은 파3홍의 경우는 티샷만 잘하면 버디 가능성이 높은 홀이지만, 티샷에 고민이 많은 홀이기도 하다. 핀에 대한 집착이 고민의 원인이다. 아마추어들은 당연히 홀의 중앙을 목표로 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하지만 그 말이 기억 안나는 홀이 파3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3홀 공략을 할때 가장 집중해야 할 목표는 온 그린이다. 이후 핀의 위치나 그린의 상태 그리고 온 그린이 되지 않았을 때 가장 안전한 방향을 찾아 공략해야 한다. 프로들도 예외일 수 없겠지만, 아마추어들은 무조건 벙커나 해저드를 회피하는 것이 키 포인트라고 본다.
파3홀은 골퍼를 유혹하는 홀이다. 그런 이유로 스윙에 힘이 들어간다. 무조건 가벼운 스윙을 해야 한다. 흔히 말하는 나의 아이언을 믿고 가볍게 치는 것이 바로 성공의 지름길이다. 티 높이는 헤드를 놓았을 때 볼이 약간 올라올 정도 꽂는것이 뒤땅 확률이 줄고 스윗스팟에 맞을 가능성이 높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아이언 연습을 바닥에서 연습하는데, 티 높이가 조절되는 연습장에서 낮은 티에 볼을 올려놓고 아이언 샷을 연습하는 것도 필요하다.
러프에서의 세컨샷은 스윙을 크게 하는 것보다 풀의 저항을 감안하여 아이언을 한 두 클럽 긴 것을 선택하여 헤드의 무게로 가볍게 스윙하는 방법이 유용하다. 아마추어 입장에서 더 현명한 방법은 자신없는 위치의 러프라면 레이업하여 페어웨이로 보내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다.
페어웨이 벙커는 그린 벙커 탈출과는 목표가 다르다. 그린 벙커는 탈출이 목표라면 페어웨이 벙커는 탈출과 거리를 동시에 추구해햐 한다. 최대한 홀 방향으로 멀리 보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페어웨이 벙커 스윙은 모래 저항 등을 감안하여 견고하게 그립을 잡고, 몸통을 고정한 채 팔로 스윙하는 것이 샷 성공율을 높인다. 단 벙커의 턱이 많이 높은 경우는 거리만이 아닌 탄도를 감안한 아이언 선택이 필요한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린에 볼을 안정적으로 올리기 위해서는 탄도가 높은 샷을 구사해서 그린에서의 런을 방지해야 한다. 고탄도의 샷은 완벽한 다운블로샷이 필요하다. 볼의 위치를 약간 왼쪽으로 옮기는 것이 탄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 고탄도의 볼은 높이 뜨기 때문에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따라서 뒷바람이 불 때는 한 클럽 짧은 아이언샷으로, 앞바람이 불 때는 풍속을 감안한 샷이 필요하다. 고탄도 샷의 스윙 궤도는 산 골짜기 모양이라고 보면 될 거 같다. 강력한 다운블로 후 하이 피니시로 마무리하는 것이다. 고탄도 샷은 그린 공략 외에도 큰 장애물이 있는 경우 그것을 넘길 때도 유용하다.
바람이 심하게 부는 날에는 반대로 낮은 탄도의 볼로 공략을 해야한다. 앞바람이 부는 경우는 필수적인 샷이다. 낮은 탄도의 아이언 샷을 하려면 고탄도와 반대로 볼을 오른쪽에 놓고 완만한 스윙궤도로 스윙을 해야한다. 볼을 오른쪽에 위치시키는 이유는 동일한 아이언이라도 오른쪽에 볼이 있는 경우 로프트각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완만한 스윙의 결과 피니시도 일반 피니시보다 낮게 마무리한다. 낮은 탄도샷은 일반적으로 맞바람이 부는 경우에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클럽은 평소 클럽 보다 긴 클럽을 선택해야 한다.
도그렉 홀을 만났을 때 티샷 뿐만 아니라 세컨 아이언 샷도 드로우 샷이나 페이드 샷이 유용한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드로우 샷은 클럽 페이스를 닫은 상태에서 인투아웃(in-to-out)의 스윙궤도로, 페이드 샷은 클럽 페이스를 연 상태에서 아웃투인(out-to-in)의 스윙궤도로 샷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스윙을 구사하기 위해서는 개인적인 연습을 통해서 일관성 있는 샷 결과가 존재해야만 실전 사용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아이언은 거리도 중요하지만, 정확성과 일관성이 더 중요하다고 한다. 실제로 필드에서 아이언 샷을 할 때 가장 어려운 것이 연습장과 같은 스윙 템포를 유지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어느 경우에서든지 일관된 스윙 템포를 유지하는 것이 상급 골퍼가 되는 기본이라고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자신만의 심플한 스윙 템포를 찾아서 습관화하는 일이 안정된 아이언 플레이 방법일 것이다.
'About GOLF > GOLF : 골프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력을 늘리는 연습장 이용방법 (0) | 2017.06.04 |
---|---|
숏 게임 준비하기 (0) | 2017.06.01 |
드라이버 비거리 늘리는 방법 (0) | 2017.05.25 |
골프스윙 쉽게 하는 방법 (0) | 2017.05.21 |
앨리슨 리의 드라이버 샷 노하우 (0) | 2017.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