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bout GOLF

2017년 신형 우드와 하이브리드의 단점

반응형

드라이버에 이어 2017년 신형 페어웨이 우드와 하이브리드에 대한 테스트 결과 중 테스터들이 말하는 단점을 정리해 본다.

 

페어웨이 우드와 하이브리드도 초중급자용과 중상급자용으로 분류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였는데, 분류에 따라 나눠 모델별 단점을 알아보겠다.

 

페어웨이 우드(기량 향상용 : 초중급자)

 

캘러웨이 빅 버사 퓨전 : "삼각형의 헤드가 모든 골퍼들의 눈에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었다. 좀 더 뛰어난 감각을 원하는 골퍼들에겐 너무 가벼울 수 있다. 임팩트 때 '볼을 부셔버릴 듯한' 느낌을 주지만, 그것이 항상 엄청난 거리 증대로 연결되지는 않았다." - 시각적인 부분은 개인의 성향이지만, 단점을 지적하는 골퍼의 수준이 높아보인다. 따라서 초보골퍼들에게 오히려 적합한 우드인 듯 싶다.

 

캘러웨이 GBB 에픽 : "녹색의 강조 그래픽이 모든 골퍼들의 마음에 든 것은 아니다. 핸디캡이 높은 일부 골퍼들은 빗맞은 타격때의 피드백을 좀 더 줄일 것을 원했다. 반면 게임 기량 향상용 범주의 이 클럽을 사용해 본 우수 골퍼들은 좀 더 뛰어난 샷 조정력을 원했다." - 전체적인 평가와 비교했을 때 단점은 소수 의견인 듯하다.

 

코브라 킹 F7 : "적절한 거리 성능을 갖췄지만 한발의 장타력을 기대하는 골퍼들은 다른 모델을 살펴야 한다. 왼쪽과 오른쪽으로 약간 휘어칠 수 있을뿐 이며, 가끔 훅이 나오는 골퍼들은 볼이 더 크게 휘어지는 경향을 보일수도 있다." - 훅 성향의 골퍼는 피하는게 좋을 듯 싶다.

 

미즈노 JPX 900 : "색깔의 조합이 모든 골퍼들의 마음에 드는 것은 아니다. 일부 골퍼들은 좀 더 높은 피드백을 원했으며, 중심 타격과 빗맞은 타격 사이의 좀 더 분명한 구별을 원했다." - 디자인은 개인의 성향이고, 정타와 빗맞은 타격의 차이가 많지 않다는 뜻으로 초보자들에게는 반가운 단점이다.

 

핑 G&G SF 테크 : '핸디캡이 높은 골퍼들은 깊은 러프에서 플레이할 때 좀 더 충분한 도움이 필요할 수 있다. 와류발생기(터뷸레이터)가 마음에 안들 수도 있다. 묵직한 헤드를 원하는 골퍼들을 위한 제품은 아니다." - 말 그대로 초보들의 깊은 러프샷은 어려울 수 있다는 뜻이며, 헤드가 볼 때의 느낌과 실제 느낌이 다르다는 말이다. 보기보다 조금 가볍다는 뜻이다.

 

테일러메이드 M2 : "일부 골퍼들은 두 가지 색조의 디자인이 집중력을 흩어놓는다고 했다. 어떤 골퍼들은 좀 더 높은 샷 조정력과 중심을 벗어난 타격 때 좀 더 높은 피드백을 선호했다." - 거리와 일관성 부문에서 안정된 결과가 나오기에 더 나은 것을 기대하는 것으로 보인다. 상급 골퍼들이 원하는 요구사항으로 보인다.

 

타이틀리스트 917 F2 : "정밀한 스윙에 대해서 보상이 크지만 일부 핸디캡이 높은 골퍼들에겐 충분한 도움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낮은 높이의 헤드가 러프속으로 들어가 박힐 수 있다. 한두 골퍼가 빗맞은 타격 때 피드백이 너무 많다고 지적했다." - 말 그대로 초급자에게는 다소 어려울 듯 싶다. 빗맞은 경우의 보상도 가혹하다는 뜻으로 이해된다.

 

투어 에지 엑소틱스 XJ1 : "일부 핸디캡이 높은 골퍼들은 이 우드가 제공하는 것보다 도 높은 실수완화성을 필요로 한다. 몇몇 참가자들에겐 탄도가 너무 높게 나왔다. 조정 기능이 없다." - 중급자 이상이 사용하는 것이 낫다는 말이지만, 탄도 부분은 초보자의 비거리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윌슨 스태프 D300 : "볼의 비행궤도가 너무 높을 수 있으며, 탄도를 낮출 수 있는 로프트 조정기능이 없다. 핸디캡이 높은 골퍼들은 현재 제공되는 것보다 더 큰 도움이 필요할 수 있다. 위로 솟은 크라운의 표시가 사랑과 증오의 이중적 반응을 불러냈다." - 여러면에서 초보자가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인다.

 

 

 

페어웨이 우드(우수 선수용 : 상급자)

 

브리지스톤 투어 B XD-F : "몇몇 골퍼들이 3번 우드를 원하는 만큼 쏘아 올리지 못해 대신 5번 우드를 사용해야 했다. 호젤에 조정 기능을 갖추지 않아 다양한 플레이를 시도하는데 제한이 있다. 일부 참가자들은 외관이 너무 평범하다고 했다." - 정타를 맞추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는 뜻으로 보이며, 외관은 개인 성향이겠다.

 

캘러웨이 GBB 에픽 서브 제로 : "보통의 스윙스피드를 가진 참가자들은 페어웨이에서 샷을 공중으로 띄우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일부 골퍼들이 좋아할 만큼 러프나 까다로운 지점을 뚫고 나가진 못했다. 몇몇 평가진들은 약간 더 부드러운 느낌을 선호했다." - 모든 면에서 우수한 우드이나 정확한 타격이 전제 조건으로 보인다.

 

혼마 TW737 FWc : 샤프트가 너무 가볍고 부드럽게 느껴져 안정된 타이밍과 일관성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작은 헤드가 다른 클럽들만큼 실수를 잘 보완해주지 못한다. 조정 기능이 없으며, 몇몇 골퍼들은 이러한 이유로 이 클럽을 더 자세히 살펴보지 않으려 했다. 일부 참가자들은 좀 더 클럽의 정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요소를 원했다.".

 

스릭슨 Z F65 : "몇몇 참가자들이 페어웨이에서 3번 우드를 효과적으로 때려내지 못해 어려움을 겪었다. 한두 골퍼가 가벼운 샤프트 때문에 오버스윙을 했다. 일부 다른 제품들보다 실수완화성이 낮았다." - 초급 골퍼들의 평가라고 보인다.

 

테일러메이드 M1 : "중심 타격 때 볼을 압착하는 느낌없이 임팩트가 거칠고 무엇인가 빈듯한 느낌을 줄 수 있다. 충분한 피드백이 부족하게 느껴질 수 있다. 일부 다른 제품들만큼 실수완화성이 높지 않다. 한두 골퍼가 컬러의 조합이 너무 현란하다고 했다." - 상급자 클럽에 대한 보통 골퍼의 의견이라고 보인다.

 

타이틀리스트 917F3 : "몇몇 골퍼들이 페어웨이에서 로프트가 낮은 모델의 헤드로 타격을 할 때 어려움을 겪었다. 한두 골퍼들이 좀 더 강력한 파워를 원했다. 호젤과 솔의 조정 장치를 이용하려면 사용설명서가 필요할 수 있다." - 상급자 모델의 전형인 우드이나 역시 실력이 따르지 않는 경우는 이러한 것이 단점이 된다.

 

투어 에지 엑소틱스 EX10 : "호젤에 조정 기능이 없다. 일부 참가자들은 가늘고 긴 크라운의 디자인을 좋아하지 않았다. 한두 골퍼가 EX9보다 충분한 성능 향상을 느낄 수 없었다고 말했다." - 클럽을 사용하는 과정상의 어려움보다는 다른 부분을 지적하는 것으로 보아 상급자용치고는 다소 쉬운 클럽이 아닌가 추측해본다.

 

 

하이브리드(기량 향상용 : 초중급자)

 

핑 G : "이 범주 최고의 모델들만큼 실수완화성이 크질 않다. 탄도가 일부 참가자들이 좋아하는 정도보다 약간 낮게 형성되는 경향이 있다. 모든 골퍼들이 상단부의 와류발생기를 좋아하진 않았다." - 전체적인 평가와는 반대의 단점이다. 개인의 스윙 스타일에 따른 나쁜 결과가 이런 의견을 내 놓은것 같다.

 

테일러메이드 M2 레스큐 : "이번 테스트의 다른 클럽들만큼 실수완화성이 크지 않았다. 일부 골퍼들은 좀 더 생생한 감각과 피드백을 원했다. 플레이 성능이 뛰어난 대부분의 하이브리드와 동일한 수준의 다양한 플레이를 제공하지 않았다." - 클럽이 초보자에게 맞춰 출시된 탓에 중상급자들에게 아쉬움의 멘트가 나온 듯하다.

 

타이틀리스트 816H1 : "몇몇 참가자들이 크라운에 정렬 보조장치가 없어 불편하다고 했다. H1은 일부 골퍼들이 좋아하는 스타일에 비해 좀 더 우드 형태에 가깝다. 힐 타격때 예측할 수 없는 결과가 나올 수 있다." - 우드 스타일이라면 스윙 또한 우드 스윙에 충실해야 한다.

 

투어 에지 핫 론치2 아이언-우드 : "대다수의 경쟁모델과 동일한 수준이 거리를 만들어내지 못했다. 일부 골퍼들은 중심에 맞히지 못한 샷이 나왔을 때 좀 더 많은 도움을 원했다. 전체적으로 피드백이 모호하게 느껴질 수 있다." - 아이언을 치기 편하게 고친 느낌이기에 고유의 하이브리드와는 비교가 다소 어렵다.

 

윌슨 스태프 D300 : "일부 다른 모델과 비교하면 샷거리가 길지 않았다. 이번 테스트 최고의 클럽과 비교하면 실수완화성이 평균에 못 미친다. 크라운의 돌기 문양에 대한 평가가 극과 극이어서 일부 참가자들은 이러한 형태의 디자인을 좋아하지 않았다." - 어려운 초급용 클럽이라는 생각이 든다.

 

 

하이브리드(우수 선수용 : 상급자)

 

캘러웨이 에이펙스 : "에이펙스는 스윙의 수준에 비례하는 일관성을 보여주기 때문에 핸디캡이 한자리 수를 넘어서는 골퍼들은 좀 더 많은 도움이 필요할 수 있다. 티 샷을 하는 경우 훅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 조정 기능이 없어 구매하기 전에 자신에게 필요한 사양이 어떤 것인지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  - 말 그대로 상급자용이니 실력이 낮은 분들은 나중에 구입하라는 말처럼 들린다.

 

코브라 킹 유틸리티 : "거친 지점에서 볼을 잘 처리하지 못하며, 일부 전통적 하이브리드보다 실수완화성이 떨어진다. 샷이 낮게 날아가는 경향이 있으며, 그린을 통과해 넘어가 버릴 수 있다. 아이언 대체 클럽으로는 완벽해 보이지만 이 범주의 다른 모델에 비해 거리가 뒤쳐진다. 빗맞은 타격때의 피드백이 약해 몇몇 골퍼들이 단점으로 꼽았다." - 롱 아이언의 형태이기에 상급자가 아닌 골퍼들에게는 그냥 어렵게 보이는 클럽인 듯 싶다.

 

혼마 TW737 UTc : "비행 궤도가 빗나갈 때가 있으며, 일부 참가자들은 믿을 수 있는 한 가지의 탄도나 샷의 형태를 발견하지 못할 때가 있는 듯 보인다. 또 어떤 골퍼들은 오프셋이 지나친 느낌이어서 핸디캡이 높은 골퍼용처럼 보인다고 했고, 원치 않는 훅을 유발한다고 했다. 탄도를 높이기가 약간 어렵다. 조정 기능이 없다."

 

핑 G 크로스오버 : "외관과 감각이 어느정도 실수완화성에 초점을 맞춘 게임 기량 최대 향상용 아이언과 비슷해 일부 골퍼들은 오프셋과 크기, 알루미늄 야구 방망이 같은 느낌 때문에 고개를 돌렸다. 다른 하이브리드만큼 날렵하질 못하며, 긴 블레이드가 다양한 플레이를 방해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러프를 포함해 플레이가 까다로운 상황에서는 거리가 짧게 나올 수 있다."

 

스릭슨 Z H65 : "컨디션이 좋지 않은 날, 특별히 골퍼들은 도와주지 않는다. 실수가 나왔을 때 우리의 평가진이 좋아할만한 정도보다 더 크게 거리가 줄어들었다. 일부 참가자들은 샷이 너무 높게 날아오른다고 했다. 강력한 스윙을 구사할 수 있을 때는 볼이 부서질 정도로 느껴질 수 있었지만 대부분의 골퍼들은 그 정도로 볼을 멀리 때려낼 수가 없다. 조정 기능이 없다."

 

테일러메이드 M1 : "장애물 탈출에선 위대한 클럽이 아니다. 낮은 발사각도와 저스핀의 특성이 일부 골퍼들에겐 문제가 될 수 있다. 핸디캡 중간 수준의 골퍼들에겐 샷거리가 너무 길 수 있으며, 때문에 정밀하게 공략 계획을 세우고 계획을 정확히 따를 필요가 있다."

 

타이틀리스트 816H2 : "토와 힐 타격 때 지나치게 스핀이 높게 나온다. 체력이 강한 골퍼들에겐 보상을 해주지만 스윙이 불안정하거나 거친 구석이 있는 골퍼들에겐 816H1을 살펴보는 것이 좋을 수 있다."

 

 

이상으로 페어웨이 우드와 하이브리드 클럽 테스터들이 말한 단점을 나열하였는데, 이는 일부 또는 소수의 의견이다. 따라서 각 브랜드의 클럽이 가진 장점을 이것으로 인해 폄하할 이유는 없다.

 

다만, 개인의 실력, 체력, 구력 차이에 따른 의견이기에 나와 비교하면서 참고하면 된다.

반응형

'About GOLF'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프 웨지와 친해지기  (0) 2017.06.14
2017년 신형 아이언의 단점  (0) 2017.06.11
2017년 신형 드라이버의 단점  (0) 2017.06.09
비거리 늘리는 드라이버 찾기  (0) 2017.06.07
나에게 맞는 아이언 선택하기  (0) 2017.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