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bout GOLF/GOLF : 골프 Story

나만의 골프 '리듬(Rhythm)' 찾는 법

반응형

"골프 스윙은 리듬과 템포가 있어야 한다"는 말을 골퍼들은 자주 듣는 말이다.

 

리듬(Rhythm)의 의미는 우리가 흔히 아는 음으로 이루어진 노래의 흐름과 같은 것이다. 그리고 템포(Tempo)는 속도라고 정의하면 될 것 같다.

 

정상급의 선수든, 아마추어 고수든 그들은 확실히 리듬과 템포가 있다. 그것을 확인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항상 스윙의 모습이 거의 비슷하다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그렇다는 것이다.

 

그런데, 많은 아마추어들에게 자신만의 리듬과 템포를 만들라는 조언을 많이 한다. 그러면서 정확히 어떤 것이다라고 딱 꼬집어 말해주지는 않는다.

 

이유는 간단하다. 사람마다 체격, 성격, 나이, 실력 등등이 천차만별이기 때문이다.

 

 

오늘은 이러한 스윙 "리듬(Rhythm)"의 기준을 잡을 수 있는 힌트를 소개하고자 한다.

 

정확히 표현하자면, 스윙시 어떤 마음가짐으로 임해야 하는지를 소개하는 것이다. 골퍼가 지금 어떤 생각을 하고 임하는지는 스윙의 결과에 많은 차이를 보여준다.

 

그런 점에서 착안한 골프클럽별 스윙시 마음속으로 가져야 하는 단어 또는 문장이라고 보면 된다.

 

글을 읽으며, 글의 내용을 머리속으로 그리며 리듬감을 찾아보자.

 

 

드라이버의 경우는 일단 "기다리자"라는 마음가짐을 갖고 스윙에 임해야 한다.

 

백스윙을 시작하면서 상상을 한다. "골프볼이 내 키만큼 튀어오른 후 떨어지고 있다. 떨어지는 볼이 땅에 닿기 직전에 볼을 때린다"

 

볼이 내 키만큼 올라오는 동안 나는 백스윙 동작 중이다. 볼이 떨어지기 시작하면 다운 스윙을 시작한다. 볼이 땅에 닿기 직전까지 다운스윙이 이루어진 후 볼을 맞춘다.

 

아마 머리속으로 상상을 해 보면, 지금 나의 드라이버 스윙보다 훨씬 느려진다는 느낌을 받을 것이다. 리듬있는 드라이버 스윙은 힘껏 치는 스윙보다 결과는 반드시 좋다.

 

아이언의 경우 "매끄럽게 치자"는 마음가짐으로 스윙을 한다.

 

클럽을 코킹하기 전에 천천히 30Cm 정도 잔디를 따라 클럽을 이동한다. 내가 돌아올 길을 확인하는 것이다. 백스윙시 클럽을 바로 들어올리지 말고, 천천히 하라는 것이다.

 

탑(Top)에 이른 후에는 드라이버와 마찬가지로 인내심을 가지고 스윙을 시작한다면, 매끄러운 스윙이 가능하다. 즉, '탑에서 백스윙이 종료되고 다운스윙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느끼라는 말이다.

 

이 방법은 긴장된 상황에서 특히 효과적이라고 한다.

 

웨지의 경우는 "가볍게 샷을 한다"는 마음가짐을 가져야 한다.

 

왜글(클럽을 쥐고 손목을 흔들면서 긴장을 푸는 것)도 하고, 가볍게 연습스윙을 하면서 무게 이동도 느껴본다. 그런 후 볼 뒤에서 셋업이 되었다면, 바로 스윙 자세를 잡은 후 가볍게 샷을 하도록 한다. 이러한 리듬감으로 샷을 한다면, 유연한 웨지샷이 된다.

 

 

퍼터의 경우 "일관된 퍼팅"을 마음속으로 다짐해야 한다.

 

대부분의 아마추어들은 프로 선수들이 어떻게 퍼팅을 하는지 알고 있다. 시계추처럼, 혹은 매트로놈처럼 백스트로크와 팔로스로를 한다는 것을 말이다.

 

그런데 퍼팅의 리듬은, 정확히는 템포가 일정하지 않다. 백스트로크에서 볼을 터치하는 순간까지 퍼터의 속도는 점점 가속 된다는 점이다.

 

즉, 퍼팅 프로세스상 백스트로크가 끝나는 지점의 속도는 "0"이다. 이후 가속이 붙으며 볼을 터치하는 순간의 속도가 최고가 된다. 그리고 팔로스루가 끝나는 지점에서 다시 속도는 "0"이 된다.

 

이 점을 항상 기억하면서 스윙의 리듬을 가져간다면 일관된 퍼팅이 될 수 있다.

 

 

개인적으로 최근에 스윙을 하면서 가장 신경쓰는 것이 백스윙과 다운스윙의 전환시점을 몸으로 느끼는 것이다.

 

그러려면, 백스윙이 빨라질 수가 없다. 이런 연습하다보니 힘 보다는 클럽 헤드무게를 많이 느낄 수 있다. 더불어 볼의 방향성도 훨씬 좋아졌다.

 

골프 실력은 들쑥날쑥 하는 경우가 많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씩 연습해가면서 조금씩 실력이 늘어나는 운동인 듯 싶다.

 

그것이 골프가 어려운 이유이고, 한편으로는 골프의 매력이라는 생각을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