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bout GOLF/GOLF : 골프 Story

초보는 '불안' 고수는 '분노'를 극복해야 한다.

반응형

골프를 흔히 멘탈 스포츠라고 한다. 평정심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평정심필요한 이유는 실력에 따라 다른게 아닌가 싶다.

 

입문자나 초보골퍼의 골프를 방해하는 가장 큰 요인은 다르다.

 

초보골퍼는 필드에 나가는 순간부터 긴장감이 몰려온다, 샷을 준비하는 동안에는 긴장감과 함께 불안이 몰려온다.

 

 

 

'잘 쳐야 하는데'라는 마음에서 기인한 긴장감으로 몸이 굳어온다. 또한 샷을 하기 직전에는 '제대로 칠 수 있을까?, 너무 많이 날아가면 어떡하지? 제대로 맞출 수 있을까?'라는 의구심에 불안감이 몰려온다.

 

구력이 좀 있는 골퍼라면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긴장과 불안으로 인해 골프를 망치는 경우는 다반사이다.

 

따라서 이를 극복해야만 좋은 스코어를 올릴 수 있을 것이다.

 

 

초보골퍼에게 있어 이를 극복하는 방법은 두 가지이다. 한가지는 '부단한 연습을 통해 기초 실력을 쌓는 것'이다. 다른 한 가지는 '불안과 긴장감 다스리는 마음 가짐'이다.

 

실력을 쌓는 연습은 시간을 투자하면 되는 것인데, 두번째 불안을 다스리는 마음은 스스로 만들어 내야 한다. 골프연습이 아닌 스스로 마음을 다스리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루피의 경우는 그러한 불안감을 극복하기 위해 머리속으로 많은 시뮬레이션을 했던 기억이 있다. 몇년 동안은 항상 그 생각을 놓지 않고 다녔을 정도이다. 하지만, 수 많은 시뮬레이션만으로도 극복하기 쉽지는 않다.

 

아마, 루피는 말하는 두 가지 방법 외에도 경험이라는 것도 필요한 요소라는 생각이 든다.

 

어찌 되었건, 흔히 "초보는 걱정한대로 가고, 고수는 본 대로 간다"는 말처럼 초보골퍼에게 평정심을 갖는 것은 큰 숙제이다.

 

굳이 조언을 한다면, 샷 연습을 할 때마다 '머리속으로 가상의 상황을 만든 후 샷을 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중상급자들의 골프를 방해하는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순간적인 분노'이다.

 

 

자신의 루틴을 방해하는 동료나 캐디 등 주변 상황에 대한 순간적인 분노, 마음에 드는 샷을 한 결과가 정반인 경우에 드는 클럽에 대한 순간적인 분노, 스윙 중 잠깐의 방심으로 원치않는 곳에 보냈을 때의 자신에 대한 순간적 분노 등 당연히 기대한 것과 다른 상황이 발생했을 때 '순간적으로 찾아오는 분노'가 골프를 방해한다.

 

그 중 가장 잦은 분노는 자신에 대한 분노일 것이다. 분명히 잘 할 수 있는데, 결과가 다를 경우 그 분노의 여파로 홀을 망치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당연히 중상급자는 그러한 분노를 조절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런데, 이는 노력도 중요하지만 성격과도 관련이 많다.

 

다소 다혈질이거나 급한 성격의 골퍼는 이를 다스리는 것이 좀처럼 어렵다. 사실 순간 치밀어 오르는 분노의 강도는 대부분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이를 꾸욱 참는 능력에 따라 이후 라운드의 성패가 달라진다.

 

결국은 이미 친 샷에 대한 미련을 빨리 버리는 방법밖에는 다른 방법이 없다. 빨리 분노와 미련을 버리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상급자들의 숙제인 것이다.

 

굳이 조언한다면, 골프에 관해서만큼은 여유로운 시각을 항상 유지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싶다.

 

 

어제와 그제 골프경기 중 선수가 탑볼을 치는 광경을 보았다. TV 중계화면에서 그런 모습은 거의 볼 수 없는데, KLPGA와 LPGA 두 경기에서 모두 그런 모습을 보니 보는 루피가 오히려 당황을 했다.

 

알다시피 스윙에 관해서 프로선수들의 플레이는 아마추어들 입장에서는 '神급'인데, 이런 광경이 벌어진 것이다. 그 상황에서 선수들은 어떤 생각을 할지가 잠시 궁금했다.

 

KLPGA의 경우는 우드샷이 100m 넘게 굴러가서 러프에 있는 볼을 찾아 샷을 한 결과, 홀 가까이 떨어뜨리는 좋은 샷을 했다. LPGA의 광경도 다를 바 없었다.

 

프로경기에서 '탑볼'은 분명 '미스샷'이나, 다음 샷으로 실수를 바로 만회하는 모습에 '프로가 탑볼을 치나?'라는 비웃음이 감탄으로 바뀌는 순간이었다.

 

역시 아마추어와 프로는 달랐다.

 

이처럼 골프는 보이는 노력 외에도 보이지 않는 노력이 필요한 스포츠임에 틀림없다. '멘탈 스포츠'라는 거창한 이름이 골프에 붙여진 이유를 알 수 있다.

 

어느 덧 여름이 물러가고 청명한 가을하늘이 기다리고 있는 지금이다. 우리나라 골퍼들이 가장 좋아하는 '가을'이 오고 있는 것이다.

 

청명한 가을날의 라운드에서 만족스러운 골프를 즐기고 싶다면, 연습 외에도 다시 한번 나의 멘탈을 점검하는 것이 필요한 시기이다.

 

반응형